건선

건선이란?

건선이란 붉은색 발진과 은백색 인설을 동반한, 경계가 명확한 붉은색의 구진 및 판을 형성하는 만성 피부질환입니다.

건선은 피부 각질층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질환으로, 전체 인구의 1~3%가 걸리는 흔한 질환이지만 현대의학으로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병이기도 합니다.

건선의 증상

1. 인설

정상적인 피부는 약 28일 정도에 걸쳐서 성숙하게 되지만 건선은 3~6일 사이에 매우 빠른 속도로 표피가 이상증식하여 나오기 때문에 은백색의 인설이 생기고 하얗게 보입니다.

2. 홍반

급성병변은 크기가 작고 물방울 모양을 보입니다. 처음엔 충혈된 피부와 홍반이 보이다가 심한 가려움증과 통증을 보이면서 점차로 커다란 건선반(인설)으로 발전합니다.

3. Koebner 현상

상처를 받은 곳에 건선발진이 생기는 현상을 Koebner 현상이라고 합니다. 
아토피 피부염에 비해 팔다리의 바깥쪽에 생기기 쉽습니다.
그 외 관절부위, 엉덩이, 의복이 조이는 부분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건선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몸에 딱 붙는 옷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Nail pitting

손발톱이 함몰되거나 구멍이 패이고 누렇게 착색되거나 비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5. Auspitz sign

건선 환부의 인설을 제거하면 인설 밑으로 얇아진 진피유두와 확장된 혈관으로 인하여 피부에 점상출혈이 생깁니다.

건선을 악화시키는 요인

1. 기후 

차고 건조한 기후는 증상을 악화시키고, 더운 날씨, 태양광선, 습도는 증상을 개선시킵니다.

2. 피부 외상 

피부에 외상을 입은 자리에 건선이 잘 발생하며 가려움증으로 인해 피부를 잘 긁게 됩니다.

3. 감염

연쇄상구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의해 갑작스럽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4. 약물

조울증약, 심장약, 고혈압약, 스테로이드제제는 건선을 악화시키기도 합니다.

5. 흡연

흡연은 건선의 발생률을 두 배 정도 높인다고 합니다.

한의학에서 보는 건선의 원인

1. 육기에 대한 저항력 약화

건선은 갑자기 발생하는 피부질환으로, 피부가 외부의 육기 변화에 대처하지 못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육기란 풍, 한, 서, 습, 조, 화의 자연적인 외부의 기후를 말합니다.
이런 외부의 기후변화에 빠르게 대처해야 할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잃고 각질만을 과도하게 형성하는 이상반응을 보이는 것입니다.

인체 내부의 정기가 심하게 약해진 경우도 있으나 피부 자체의 문제에서 비롯된 경우가 더 많습니다.

표피란 피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건선은 피부의 저항력이 많이 떨어져서 발병합니다.
외부의 기후변화(육기)에 대해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건강한 피부라 할 수 있습니다.

2. 정신적인 문제

한방에서 마음의 변화를 칠정이라고 합니다. 
화남, 우울함, 고민, 슬픔, 공포, 놀람의 일곱 가지 정신적인 변화가 마음을 풍요롭게 하기도 하고 병들게 하기도 합니다.
건선은 칠정에 의해서도 기혈이 응체되고 정기가 훼손되면서 발생합니다.

3. 혈허

혈허란 혈이 부족해진 상태입니다.
인체는 기(기운, 에너지)와 혈(물질, 영양분)이 공존하며 몸의 생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건선은 피부가 마르는 질환으로 몸안의 음혈(혈액과 진액)이 부족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4. 혈열

혈이 부족하게 되면서 같이 생기는 증상이 바로 혈액에 열이 생기면서 뜨거워지는 것입니다. 혈열이라고 하는 것은 피부가 붉어지고 가려움증이 생기는 증상의 원인이 됩니다.

5. 땀분비장애

건선이 있는 피부는 정상적으로 땀을 분비하지 못합니다.
땀분비란 피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몸속의 열과 노폐물을 배출하는 기본적인 기능입니다.

건선피부는 땀을 적절히 분비하지 못하게 되어 증상이 악화되므로 땀을 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선의 한방치료

1. 면역약침요법 및 체질개선 한약요법

피부의 환부와 몸의 인체저항력을 기르는 혈자리에 약침을 주입하여 전신의 면역력을 올리고 피부 가려움증, 건조함, 인설, 홍반 등의 증상을 직접적으로 다스립니다.
또한 체질과 증상의 정도에 맞게 건선의 원인을 파악하여, 피부의 저항력을 기르모 혈을 보강하는 한약을 처방합니다. 

2. 해독요법

몸의 기운이 심하게 약해져 있거나 독소라 많이 쌓인 경우, 땀내기, 대소변 배출 등의 해독법을 사용하여 정체된 독소를 배출하여 보다 빠르게 몸의 기운을 회복시킵니다.

3. 운동요법

피부가 스스로 땀내고 호흡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통해서 피부를 단련시키고 정상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체력이 많이 약해서 운동조차 힘든 경우는 체질개선 한약을 복용하면서 기운을 보강하여 운동하도록 해야 합니다.